본문 바로가기
경제

국민 연금 지급에 대한 궁금증 알아보기

by 복생어미 2024. 4. 27.
반응형

국민 연금은 우리나라의 사회보험 제도 중 하나로, 근로자 및 자영업자 등이 근로 소득에 대한

일정 비율을 납부하여 노후에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제도인데요,

국민 연금의 연금 급여 지급에 대한 궁금증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 연금의 연금 급여 지급

Q.65 국민 연금에서 받을 수 있는 급여 혜택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63세가 되면 노령연금을, 장애를 입은 경우에는 장애연금을, 사망 시에는

     유족에게 유족연금을 지급

 

국민연금의 급여는 크게 연금급여일시금급여로 구분됩니다.

 

연금급여는 가입자 또는 그 유족의 생활안정을 위하여 지급하는 것으로써 노령연금(분할연금 포함),

장애연금, 유족연금이 있으며, 일시금급여 연금급여의 지급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자에게

지급되는 급여로써 반환일시금, 사망일시금이 있습니다.

 

노령연금최소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일 때 63(1953년생 이후부터는 출생연도별로

61~65세부터 수령)부터 본인의 가입기간과 가입기간 중 소득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연금액을

매월 지급해 드리는 급여입니다.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소득이 일정액 이하인 경우 59세부터 받을 수 있는 조기노령연금

(1953년생 이후부터는 출생연도별로 56~60세부터 수령), 제도 도입 및 확대 당시 고령으로

최소 가입기간을 채우기 어려운 가입자를 배려하여 가입기간이 5년 이상이면

받을 수 있는 특례노령연금도 있습니다.

 

분할연금은 가입기간 중 혼인기간이 5년 이상인 노령연금 수급자와 이혼하는 경우, 그 배우자에게

혼인기간에 해당하는 노령연금액을 분할하여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장애연금은 질병이나 부상의 초진일 당시 연금보험료를 일정기간 이상 납부한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분에게 해당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장애가 남았을 때 공단에서

장애정도(1~4급)를 심사하여 장애가 존속하는 동안 지급하는 급여입니다.

 

유족연금은 연금보험료를 일정기간 이상 납부한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분과 노령연금을

받고 있는 분, 장애등급 2급 이상의 장애연금을 받고 있는 분이 사망한 경우에는 그에 의해

생계를 유지하고 있던 일정 범위의 유족에게 지급되는 급여입니다.

 

노령연금을 지급받기 위한 최소가입기간(10)을 충족하지 못하고 지급연령에 도달한 경우,

가입자(가입자였던 자 포함)가 사망하였으나 유족연금을 지급받을 수 없는 경우, 국적상실

또는 국외이주와 같이 향후 국민연금 재가입의 가능성이 희박한 경우에는

반환일시금이 지급됩니다.

 

가입자(가입자였던 자 포함)의 사망 시 유족연금 또는 반환일시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유족이 없는

경우에는 배우자, 자녀, 부모, 손자녀, 조부모, 형제자매, 생계를 유지한 4촌 이내의 방계혈족 중

최우선 순위자에게 사망일시금이 지급됩니다.

Q.66 노령 연금은 왜 차이가 나나요?

노령연금액은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 본인의 소득 수준과 납부기간에 따라 달라짐

  ☞ 같은 시기에 같은 기간을 납부하더라도 해당기간 동안 소득이 다르다면

       노령연금 수급액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100만 원(9만 원 보험료)인 분과 300만 원(27만 원 보험료)인 분의 수령액은

아래와 같은 차이가 나게 됩니다.

노령연금 수령액
노령연금 수령액

Q.67 국민 연금으로 받은 급여도 세금을 내야 하나요?

장애연금과 유족연금 제외한 노령(분할) 연금과 반환일시금은 연금 수령 시 세금 공제 후 지급

  ☞ 납부한 연금보험료에 대해서는 소득공제 혜택

 

노령(분할) 연금.

국민연금은 2002년 이후 납부한 보험료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200211일 이후 가입기간에 의해 산정된 노령(분할) 연금(분할) 및 반환일시금을 과세대상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만 장애연금과 유족연금은 과세대상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이는 국민연금 가입 중 납부한 연금보험료에 대한 소득공제를 통해 중산층의 세부담을 경감하는

한편, 연금소득에 대한 과세를 통해 소득발생시기와 과세시기를 일치시킴으로써 과세 기반 확충

및 과세 형평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연금 급여 과세 여부
연금 급여 과세 여부

 

이에 대한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납부는, 근로소득처럼 연금 지급 시에 간이세액표에 따른 세액을

원천 징수하고 연말정산 시 정확한 결정세액을 확정하여 정산결과를 다음 해 1월 연금액에

반영하도록 되어 있어 수급자가 따로 납부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Q.68 국민 연금 수급자인 아버지를 연말정산 시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나요?

소득만 발생하는 경우 과세대상 연금액(2002년 이후 가입기간에 따른 연금액)이

     약 516만 원 이하이고 60세 이상이면 다른 가족의 부양가족으로 기본공제자가 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연간소득금액이 100만 원 이하인 경우 연말정산 시 기본공제자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연간소득금액에는 종합소득금액(근로소득금액, 연금소득금액, 사업소득금액, 기타 소득금액,

이자배당 소득금액), 퇴직소득금액, 양도소득금액이 포함됩니다.

아버님에게 연금소득만 발생한다고 했을 때, 과세대상연금액(총 연금액) 약 516만 원 이하이면

연금소득공제 약 416만 원을 차감하여 연금소득 금액이 100만 원 이하이므로

기본공제자가 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과세대상연금액(과세기준금액)은 아버님께서 한 해 동안 수령한 연금액 전액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장애연금과 유족연금은 비과세소득이며, 2001년 이전 가입기간에 따른

노령(분할) 연금액은(과세기준금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2002년 이후 가입기간에 따른 노령연금액이 약 516만 원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연말 정산 시 아버님을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과세대상연금액(과세기준금액) 확인은 공단 홈페이지(www.nps.or.kr) 전자민원서비스에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시면노령연금 연말정산 모의계산이나 연금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발급(다음연도 2월 이후)서비스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Q.69 나중에 받게 될 예상연금액과 내가 낸 연금보험료 내역을 알 수 있나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미래에 받게 될 예상연금액과 그동안의 납부내역 조회 가능

  ☞ 건강, 재무, , 여가 등 종합적인 노후준비서비스도 무료로 받을 수 있음

 

나중에 받게 될 예상연금액과 그동안 납부한 내역은 국민연금 홈페이지 (공동인증서 필요) 또는

내 곁에 국민연금모바일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 연금 알아보기☞

 

예상연금액은 현재까지 납부한 보험료를 기준으로 60세 또는 연금수급 가능 시까지 계속

납부하는 것을 가정하여 산정한 금액으로 ‘내 연금 홈페이지(csa.nps.or.kr) - 국민연금

예상연금조회에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가 없는 분들은 공단 홈페이지의 예상연금 간단 계산’에서 월 납입보험료를 본인이

직접 입력하거나, 내 연금 홈페이지의 국민연금 모의계산에서 과거 및 미래의 소득을 본인이

직접 입력하여 향후 예상연금액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개인이나 사업장이 납부한 보험료 내역은 공단 홈페이지 민원신청

개인민원/ 사업장민원보험료 납부내역 조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액과 그동안 납부한 보험료 내역을 조회하는 또 다른 방법은 내 곁에 국민연금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네이버인증서, 카카오페이 또는

간편 인증(카카오·KB국민은행·페이코·통신사 PASS·삼성 PASS)을 통해

로그인 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공단 지사를 방문하면 본인의 국민연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노후생활을

위한 건강, 재무, 취미·여가, 일 등 종합적인 노후준비서비스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Q.70 물가가 오르면 연금액도 올라가나요?

국민연금은 전년도 소비자물가변동률만큼 수령액도 조정됨

  ☞ 장기적인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연금액의 실질가치 보장

 

, 물가가 오르면 받고 있는 연금액도 그만큼 올라갑니다.

국민연금제도는 장기적인 노후소득보장을 목적으로 하므로 국민연금 수급액의 실질가치 보장

장치가 되어 있습니다. 연금을 받기 시작한 이후 매년 1월부터 전년도의 전국 소비자 물가 변동률

만큼 연금액을 인상하여 지급함으로써 연금액의 실질가치를 보장합니다.

 

국민연금법 개정(2019115일 시행)으로 전년도 물가변동률을 반영한 국민연금액

인상시기가 매년 4월에서 1월로 앞당겨졌습니다.

연금액 인상비율
연금액 인상비율과 실제 사례

최초 연금수령 이후 매년 연금액을 인상하여 지급한 사례(최근 20년간

     연금월액이 395,220원 인상됨)

Q.71 부양가족이 많은 경우 연금을 더 받을 수 있나요?

국민연금 수령 시 부양가족연금 추가 지급

  ☞ 20231월 현재 배우자 연 283,380원 (23,610), 자녀나 부모

      1인당 연 188,870원 지급

 

, 부양가족이 있을 경우 국민연금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을 받는 분에게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가족수당 성격의 추가급여를 지급하는데

이를 부양가족연금이라 합니다.

부양가족연금은 연금을 받는 분(유족연금의 경우에는 사망한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분의)

배우자, 자녀(19세 미만 또는 장애 2급 이상), 부모(62세 이상 또는 장애 2급 이상, 배우자의

부모 포함)로서 연금을 받으시는 분에 의해 생계를 유지하는 경우에 지급되며, 가입기간 등에

관계없이 정액으로 지급됩니다.

이때 배우자가 결혼 전에 얻은 자녀(계자녀)와 부 또는 모의 배우자(계부모)를 포함하여

인정합니다. 부모, 계자녀, 계부모 그 외 기타의 관계인 분들은 수급자와 주민등록표상 세대를

같이하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합니다.

기타의 관계는 사망한 가입자와의 관계가 배우자, 자녀(계자녀), 부모(계부모)에 해당하나,

수급권자와의 관계는 배우자, 자녀(계자녀), 부모(계부모)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를 말함

 

20231월 현재 부양가족연금은 배우자일 경우 연 283,380(23,610)이며, 자녀· 부모의

경우에는 1인당 연 188,870(15,730)이 지급됩니다.(매년 1월 기준 전년도 전국

소비자물가변동률을 기준으로 인상됨, 2023년 조정률: 5.1%)

 

다만 공적연금(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등)을 받고 계시는 분은 다른 분의 부양가족연금

대상이 될 수 없으며, 한 사람이 두 명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의 부양가족연금

대상자가 될 수는 없습니다.

부양가족연금대상자 신청 시 구비서류: 가족관계증명서류, 생계유지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

부양가족연금 지급대상인 부모의 연령: 급여지급연령 상향에 따라 조정됨

☞  장애인복지법상 장애가 있는 자는 공단에서 정한 별도의 장애등급 2급 이상 인정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부양가족연금 계산대상으로 인정

Q.72 연금도 압류가 되나요?

◐ 185만 원 이하의 연금수령액은 압류할 수 없음

  ☞ 국민연금 전용 안심계좌를 이용하면 압류로부터 보호됨

 

185만 원 이하의 국민연금은 압류가 불가능합니다.

국민연금은 노후생활의 기본적 수단으로 국가에서 보장하는 연금급여입니다. 그러므로 이를 받을

권리를 압류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도록 국민연금법에서 명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급권자에게 지급된 급여 중 일정 금액 이하의 금액에 대하여는 압류의 효력이 미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연금을 지급받고 있는 은행계좌는 예금채권이기 때문에 타인에 의해 압류될 수 있습니다.

연금수급계좌가 압류되었다 하더라도 법원의 압류명령취소신청또는 압류명령범위변경신청

절차를 통해 월 185만 원 이하의 금액은 압류 대상 금액에서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

압류금지금액인 185만 원은 민사집행법 시행령 제2조에 따라 압류금지액 변경 시 연동 변경

 

이 또한 지금 당장 연금 급여가 필요한 일부 수급자들에게는 번거로움이 될 수 있어,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국민연금 급여수급 전용계좌인 국민연금 안심(安心) 통장’

제도를 법제화하였습니다.

 

‘안심(安心) 통장’은 현재22개 금융기관에서 개설이 가능합니다. 이 계좌는 법원의 압류명령 및

체납처분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국민연금 전용계좌로, 국민연금법에서 정하고 있는 수급권

보호금액(20231월 현재 185만 원) 이내로 입금한도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연금급여(노령연금, 유족연금, 장애연금, 분할연금) 수령액이 위의 수급권 보호금액을

초과한다면 국민연금 안심통장과 함께 별도 수급계좌를 신청하셔야 하며, 일시금급여는

수령액이 185만 원 이하인 경우에 한해 국민연금 안심통장으로 지급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급여수급전용계좌 발급 기관

우리은행, 신한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우체국, NH농협은행, 단위농협,

SC제일은행, KDB산업은행, 한국시티은행, 수협중앙회, DGB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새마을금고, 저축은행중앙회, 신협, 산림조합중앙회

출처=국민연금공단

지금까지 국민연금 연금 급여에 대한 일반적인 궁금증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음시간부터는

연금 급여의 종류별(노령연금/장애연금/유족연금/사망일시금/반환일시금) 연금 급여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